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승정원일기 86책 (탈초본 5책) 인조 21년 10월 21일 신사 11/17 기사 1643년  崇禎(明/毅宗) 16년

辭連各人에 대한 招辭는 別單으로 書啓하고 申海龍은 梟示하기를 청하는 訓鍊都監의 계

○ 訓鍊都監啓曰, 傳曰, 放砲殺人之賊, 捧招後處置, 似當。此意言于都監事, 傳敎矣。哨軍申海龍, 因嫌放中金振聲之事, 雖係殺人, 而哨軍相殺, 此乃軍法當斬者, 其罪十分明白, 哨內軍情, 莫不齊憤, 故臣等, 直請梟示矣。今承聖敎, 卽爲捧招, 則雖稱誤放所致, 而辭連各人招內, 海龍因嫌謀殺之跡, 本來悖惡之狀, 箇箇昭著, 一處推閱, 則渠亦無言可白矣。渠之初招, 誤爲落線之說, 不過爲死中求生之計, 而如此寒冱之節, 北門遊觀者, 乃其誘致無人之處也。飮酒歌舞之時, 挾銃落綿者, 乃其乘時殺害之意也。其爲情跡, 不可掩匿, 況有各人之招, 皆已歸一, 謀殺之罪, 益爲現著矣。各人等招辭, 竝爲別單, 書啓。申海龍, 依前啓辭梟示, 以肅軍律, 何如? 傳曰, 依啓。捕告人, 令該曹, 依法論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