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장각 원본
- 국역
- [03] 검교대교 조영하는 건릉 등을...
- [04] 대혼을 첨정 민치록의 딸로 ...
- [05] 시원임 대신들이 문안하기 위...
- [06] 종신들이 문안하기 위해 대령...
- [07] 각신들이 문안하기 위해 대령...
- [08] 유신들이 문안하기 위해 대령...
- [09] 광주 유수와 두 도위를 함께...
- [10] 당해 주서를 추고하라는 전교
- [11] 삼간택 후 별궁으로 갈 때 ...
- [12] 대례 때의 교문 등을 윤색하...
- [13] 친영할 길일을 언제쯤으로 정...
- [14] 친영할 길일을 21일로 정하...
- [15] 예조가 납채의 일자 등을 정...
- [16] 동뢰연은 시어소의 어느 전에...
- [17] 등록대로 가례 후 각전의 조...
- [18] 십자각 근처에 있는 훈련도감...
- [19] 궁궐 건축 공사장에 화재가 ...
- [20] 훈련대장 임태영을 파면하였으...
- [21] 겸찰 훈련대장 이주철을 패초...
- [22] 신병이 있는 가주서 진창복을...
- [23] 가주서 진창복을 개차하고 후...
- [24] 신병이 있는 선공감 가감역관...
- [25] 신병이 있는 장단 부사 박유...
- [26] 고 첨정 민치록을 전례에 따...
- [27] 이비의 관원 현황
- [28] 병비의 관원 현황
- [29] 이조 참의 남종순의 파직 전...
- [30] 서사관 상호군 이의익이 쓴 ...
- [31] 서사관 흥인군 이최응이 쓴 ...
- [32] 서사관 지종정경 이도중이 쓴...
- [33] 서사관 광주부 유수 민치구가...
- [34] 서사관 동녕위 김현근이 쓴 ...
- [35] 서사관 영평군 이욱이 쓴 철...
- [36] 서사관 남녕위 윤의선이 쓴 ...
- [37] 중궁전 공상 물종을 늘려 정...
- [38] 영혜옹주방에 수납할 세미는 ...
- [39] 백성 수를 기록하였다는 한성...
- [40] 삼간택이 지났으므로 본댁을 ...
- [41] 삼간택이 지났으므로 본댁을 ...
- [42] 삼간택이 지났으므로 본댁을 ...
- [43] 임소에 있는 교동 부사 한원...
○ 鄭基會啓曰, 行大司憲金炳德, 執義金聲根, 掌令金錫輔未肅拜, 權膺善, 持平梁相器·全在鳳在外, 監察茶時之意, 敢啓。傳曰, 知道。傳于宋熙正曰, 檢校待敎趙寧夏, 馳詣健陵, 奉審摘奸, 仍留監祭, 顯隆園·華寧殿, 一體奉審以來。大王大妃殿, 以承傳色傳于賓廳曰, 大婚欲定於僉正閔致祿女, 卿等之意, 何如? 賓廳領中樞府事鄭元容, 領敦寧府事金左根, 議政府領議政趙斗淳, 行判敦寧府事李景在, 議政府左議政金炳學, 右議政柳厚祚啓曰, 伏承慈敎, 允協神人之望, 斯乃宗社臣民無疆之福, 臣等不勝忭賀之忱, 敢啓。傳曰, 知道。宋熙正啓曰, 時原任大臣爲承候來待矣。傳曰, 入侍。又啓曰, 諸宗臣爲承候來待矣。傳曰, 入侍。又啓曰, 諸閣臣爲承候來待矣。傳曰, 入侍。又啓曰, 諸儒臣爲承候來待矣。傳曰, 入侍。傳于宋熙正曰, 廣州留守, 兩都尉同爲入侍。傳于宋熙正曰, 當該注書推考。傳于宋熙正曰, 三揀擇後〈詣〉別宮時, 興寅君, 工曹判書李載元, 都承旨李載冕, 檢校直閣閔升鎬別陪進。宋熙正啓曰, 大禮時, 敎文及本房答文, 令文任, 字句間添潤啓下事, 命下矣。藝文提學吳取善未肅拜, 卽爲牌招, 何如? 傳曰, 允。宋熙正, 以禮曹言啓曰, 三揀擇今已過行, 親迎吉日, 以何間推擇乎? 敢稟。傳曰, 今月念間擇入。又以禮曹言啓曰, 以親迎吉日何間推擇取稟草記。傳曰, 今月念間擇入事, 命下矣。令日官金秉洪推擇, 則今三月二十一日爲吉云, 以此日定行乎? 敢稟。傳曰, 以此日定行。禮曹, 納采三月初九日辰時, 納徵同月十一日午時, 告期同月十七日午時, 冊妃同月二十日, 親迎同月二十一日辰時, 同牢宴同月同日申時。宋熙正, 以禮曹言啓曰, 今此嘉禮時, 親迎之禮行於別宮事, 自都監已爲稟定矣, 同牢宴處所, 以時御所何殿爲之乎? 敢稟。傳曰, 重熙堂爲之。又以禮曹言啓曰, 嘉禮儀節, 當爲磨鍊, 謹稽謄錄, 則嘉禮後各殿朝見禮, 皆分日行禮矣, 今亦依此, 嘉禮翌日, 中宮殿朝見于大王大妃殿, 又翌日, 朝見于王大妃殿, 又翌日, 朝見于大妃殿, 磨鍊節目, 何如? 傳曰, 依辛亥年例爲之。又以營建都監都提調意啓曰, 今日二更量, 東邊十字閣近處訓局畫師假家失火, 治木假家八百餘間及治鍊木物, 盡爲延燒, 而連加董飭, 救火之意, 敢啓。傳曰, 知道。又以營建都監都提調意啓曰, 去夜營建所失火, 延燒至爲屢百間之多, 已治鍊之材木, 擧皆不免燼爇, 本所旣有禁火之具, 亦有警夜之卒, 而不敢嚮邇, 坐看挻及, 平日不飭之失, 在所難免, 當該入直堂上, 捧現告, 施以譴罷之典, 上直之將校員役及失火處所守直軍卒, 竝付秋曹, 嚴刑定配, 何如? 傳曰, 允。李元會啓曰, 訓鍊大將任泰瑛譴罷事, 命下矣。將兵之任, 不可一刻無摠察之人, 何以爲之? 敢稟。傳曰, 摠戎使兼察。又啓曰, 訓鍊大將摠戎使兼察事, 命下矣。兼察訓鍊大將李周喆, 卽爲牌招聽傳敎, 何如? 傳曰, 允。黃鍾顯啓曰, 假注書晉昌復, 身病猝重, 勢難察任, 今姑改差, 何如? 傳曰, 允。假注書晉昌復改差代, 以李容萬爲假注書。黃鍾顯, 以吏曹言啓曰, 繕工監假監役官吳述善, 西部都事金頀求, 俱以身病, 呈狀乞遞, 竝改差, 何如? 傳曰, 允。又以吏曹言啓曰, 新除授長湍府使朴有鵬戶奴呈狀內, 矣上典素患痰癖之症, 當此換節之時, 一倍添劇, 萬無赴任之望, 卽速啓遞改云, 其身病旣如是, 則有難强令赴任, 罷黜, 何如? 傳曰, 允。又以吏批言啓曰, 故僉正閔致祿, 今當追封府院君, 而在前卒逝, 依已例贈領議政, 三代贈職, 亦爲一體擧行之意, 敢啓。傳曰, 知道。有政。吏批, 行判書趙得林進, 參判趙秉協, 參議南鍾順竝牌招不進, 同副承旨趙性敎進, 以柳厚祚爲進賀謝恩兼奏請使, 徐堂輔爲副使, 洪淳學爲書狀官, 鄭禮鉉爲假監役, 朴齊性爲西部都事, 李敎獻爲長湍府使, 故僉正閔致祿贈領議政驪城府院君, 淑人吳氏贈海寧府夫人, 李氏封韓昌府夫人, 已上王妃父母, 依法典封爵, 故吏參閔耆顯贈領議政, 故大司成閔百奮贈左贊成文顯例兼, 已上贈驪城府院君閔致祿兩代例贈。兵批, 行判書李圭徹病, 參判李周喆病, 參議金龍基入直進, 參知李心宰病, 右副承旨鄭基會進, 同知單李良鎬, 副司勇李周元。以吏曹參議南鍾順牌不進罷職傳旨, 傳于趙性敎曰, 只推。宋熙正, 以追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翼宗大王金寶篆文書寫官, 上護軍李宜翼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加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王大妃殿玉寶篆文書寫官, 興寅君最應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追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憲宗大王金寶篆文, 書寫官, 知宗正卿李䆃重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追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孝顯王后金寶篆文書寫官, 廣州府留守閔致久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加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大王大妃殿玉寶篆文書寫官, 東寧尉金賢根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追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哲宗大王金寶篆文書寫官, 永平君昱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加上尊號都監都提調意啓曰, 大妃殿玉寶篆文書寫官, 南寧尉尹宜善書出, 正副本謹此封進, 以備睿裁後入刻之意, 敢啓。傳曰, 正本入刻。又以戶曹言啓曰, 本曹所管濟用監貢物, 雖値加定之時, 獨無受價之例者, 以其遺在, 尙能備加定之數, 今則遺在已盡, 反有加用, 一依他貢例, 中宮殿供上物種, 加定上下, 何如? 傳曰, 允。又以戶曹言啓曰, 卽接內需司所報, 則永惠翁主房折受稅米, 望定於湖西各邑, 稅錢, 望定於京畿各邑, 自丙寅條爲始, 免稅輸納之意, 啓單蒙允矣, 卽伏奉傳敎下者, 有永惠翁主房折受, 以乙丑條輸送之命, 而畿邑稅錢, 係是當年納, 故乙丑條, 已爲輸納於各宮房, 今無劃送之處, 稅米以乙丑條輸送, 稅錢以丙寅條輸送, 何如? 傳曰, 允。當有處分矣。鄭基會, 以漢城府言啓曰, 濟州三邑民數, 今始上來, 依例入錄之意, 敢啓。傳曰, 知道。又以訓鍊都監言啓曰, 再揀擇後, 本第衛護次, 將校一人, 軍十名定送, 與禁衛營御營廳, 限三揀擇前, 輪回入直矣, 今則三揀擇已過, 將卒解送之意, 敢啓。傳曰, 知道。又以禁衛營言啓曰, 再揀擇後本第衛護次, 將校一人, 軍十名定送, 與訓鍊都監·御營廳, 限三揀擇前, 輪回入直矣, 今則三揀擇已過, 將卒解送之意, 敢啓。傳曰, 知道。又以御營廳言啓曰, 再揀擇後本第衛護次, 將校一人, 軍十名定送, 與訓鍊都監·禁衛營, 限三揀擇前, 輪回入直矣, 今則三揀擇已過, 將卒解送之意, 敢啓。傳曰, 知道。又以義禁府言啓曰, 京畿監司兪致善狀啓內, 喬桐府移還防報, 仍呈辭狀, 該府使韓元植, 爲先罷黜, 其罪狀, 令攸司稟處事, 判付內, 雖出於各爲其民之意, 事體則極壞損, 而水使與管下守令有異, 則至有尋單, 尤涉昧例事啓下矣。該府使韓元植, 時在任所, 而係是閫帥, 依例發遣府都事, 交龜後拿來, 何如? 傳曰, 侍待命拿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