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입력 내용 삭제
문자입력기
검색
부수검색
음가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검색
열 람
승정원일기
정보화사업
승정원마당
왕 대
책별
조직과 기능
연혁
작성방식
사료적가치
기록유산
개 요
범 례
공지 사항
인조 - 고종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
19대 숙종(1674년~)
20대 경종(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철종 4년
1853년 (계축)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승정원일기 123책(탈초본 2541책) 철종 4년 4월 4일 무인
1853년 咸豊(淸/文宗) 3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
晴
行都承旨
趙台淳
坐
。 左承旨
沈敬澤
坐
。 右承旨
李維謙
病
。 左副承旨
韓啓源
坐直
。 右副承旨
嚴錫鼎
坐直
。 同副承旨
金炳溎
坐
。 注書
李徹宰
金完植
。 假注書
李錫宙
仕
沈東臣
仕
。 事變假注書。
昌德宮에 머묾. 常參과 經筵을 정지함
○ 上在
昌德宮
。 停常參·經筵。
○ 上在
昌德宮
。 停常參·經筵。
내일 常參과 經筵의 시행에 대해 묻는 承政院의 啓
○ 政院啓曰, 明日常參·經筵, 取稟。 傳曰, 停。
○ 政院啓曰, 明日常參·經筵, 取稟。 傳曰, 停。
오늘 仕進하지 않은 嚴錫鼎에 대해 牌招를 청하는 啓
○ 又啓曰, 右副承旨
嚴錫鼎
, 今日不爲仕進, 卽爲牌招, 何如? 傳曰, 允。
○ 又啓曰, 右副承旨
嚴錫鼎
, 今日不爲仕進, 卽爲牌招, 何如? 傳曰, 允。
○ 義禁府啓目,
薪智島
萬戶
朴南壽
亦, 原情云云。 問目內辭緣, 泛稱遲晩, 刑推得情, 何如? 啓, 除刑推議處爲良如敎。
○ 義禁府啓目,
薪智島
萬戶
朴南壽
亦, 原情云云。 問目內辭緣, 泛稱遲晩, 刑推得情, 何如? 啓, 除刑推議處爲良如敎。
○ 又啓目粘連, 向前
朴南壽
亦, 配囚防守, 法意莫嚴, 鞫獄干連, 事體尤別, 致此逃躱, 後弊所關, 不可例勘, 以此照律, 何如? 啓依允。
○ 又啓目粘連, 向前
朴南壽
亦, 配囚防守, 法意莫嚴, 鞫獄干連, 事體尤別, 致此逃躱, 後弊所關, 不可例勘, 以此照律, 何如? 啓依允。
○ 癸丑四月初四日辰時, 上御
熙政堂
。 日講入侍時, 日講官
趙斗淳
, 參贊官
韓啓源
, 侍講官
權應夔
, 假注書
沈東臣
, 記注官
金德興
, 記事官
李容殷
, 各持
詩傳
第二卷, 以次進伏訖。 上曰, 史官分左右。 上誦前受音一遍訖。 仍開卷,
斗淳
讀自凱風自南, 止匏有苦葉四章, 仍釋義訖。 上曰, 文義奏之。
斗淳
曰,
詩經
序註, 卽
朱夫子
之所勘定也。 大旨以勸懲爲主, 而以
衛風
之淫哇, 亦有七子之賢, 斯其可觀者也。 上曰, 刺之爲言, 譏之云乎?
斗淳
曰, 刺是刺斥之刺, 而譏之不足, 而刺斥之謂也。 上曰, 七子謂母氏聖善, 而自謂我無令人, 其自責也深矣。
斗淳
曰,
程子
曰天下無不是底父母, 此乃贊
大舜
之言也, 此詩之意亦類是, 以七子之賢, 自責不善, 而不敢非其母矣。
應夔
曰, 昨冬
孟子
進講時, 有曰凱風親之過小, 小弁親之過大, 凱風卽此詩也, 仰想記有聖衷矣。 上曰, 然矣。 上讀新受音十遍訖曰, 文義以次奏之,
斗淳
曰, 凱風章旨義, 俄已略陳, 而士風國政, 無一可觀者。 莫此詩若, 雖有七子之母, 猶不能安其室, 而其子無怨尤底意, 其事則雖亂世之事, 其人則能盡子道之人也, 至若雄雉章, 卽婦懷其夫之詩也。 其夫從役于外, 久未還歸, 宜有悲怨之言, 而慮其遠行之犯患, 必勉戒之曰, 不忮害不貪求, 何爲不善也? 以婦人女子, 能念及於此, 而若忘其別離之勞苦, 只願其善處而得全, 此篇未知何婦人所作, 而雖道學君子人之言, 亦無以過此。 大抵不忮不求何用不臧八字, 卽聖學之要訣。 伏願惓惓服膺, 而常加體念, 則其功效之浩大, 有不可勝言矣。 又奏曰, 夫濟盈則必濡其軌, 而今濟盈而不濡軌者, 言其反於常理, 以比男女之不度禮義也。 上曰, 匏熟則無葉, 今曰匏有苦葉, 何義也?
斗淳
曰, 匏尙有葉, 則亦未可用也, 此亦取比於男女之不自量度也。
應夔
曰, 匏有甘匏, 亦有苦匏, 苦匏則不可食, 而只可佩而渡水也。 招招舟子, 人涉卬否者, 常人之情, 易狃於從俗, 尤而效之者多, 而此則能以禮節自守, 諷刺流俗, 先王風敎, 尙有所不泯矣。 上曰, 飛曰雄雌, 走曰牝牡, 而今雉求其牡者, 何也?
應夔
曰, 此言淫風流行, 男女非其耦而相求也。
斗淳
曰, 此亦比其反常而犯禮也。 上掩卷, 仍命史官就座。 又命退, 諸臣以次退出。
○ 癸丑四月初四日辰時, 上御
熙政堂
。 日講入侍時, 日講官
趙斗淳
, 參贊官
韓啓源
, 侍講官
權應夔
, 假注書
沈東臣
, 記注官
金德興
, 記事官
李容殷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