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입력 내용 삭제
문자입력기
검색
부수검색
음가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검색
열 람
승정원일기
정보화사업
승정원마당
왕 대
책별
조직과 기능
연혁
작성방식
사료적가치
기록유산
개 요
범 례
공지 사항
인조 - 고종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
19대 숙종(1674년~)
20대 경종(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고종 27년
1890년 (경인)
1월
2월
윤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승정원일기 136책(탈초본 2992책) 고종 27년 1월 11일 임자
1890년 光緖(淸/德宗) 16년
요목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晴
行都承旨
洪淳馨
坐
。 左承旨
金昇圭
緣故出
。 右承旨
李愚冕
廚院進
。 左副承旨
金炳秀
廚院進
。 右副承旨
李勝宇
坐直
。 同副承旨
李冕相
坐直
。 注書 二員未差。 假注書
池鳳翎
仕直
金重煥
仕
。 事變假注書
李鏡昈
仕
。
○ 上在
景福宮
。 停常參·經筵。
○ 上在
景福宮
。 停常參·經筵。
○
李冕相
啓曰, 禁直法意, 何等嚴重, 而今日內務府堂上, 無難闕直, 事體所在, 萬萬駭然, 當該堂上, 所當重勘, 而本院請推之外, 無他可施之罰, 何以爲之? 敢稟。 傳曰, 拿處。
○
李冕相
啓曰, 禁直法意, 何等嚴重, 而今日內務府堂上, 無難闕直, 事體所在, 萬萬駭然, 當該堂上, 所當重勘, 而本院請推之外, 無他可施之罰, 何以爲之? 敢稟。 傳曰, 拿處。
○ 假注書
池鳳翎
書啓, 臣於本月初十日巳時量, 以
東
·
南
·
北郊諸壇
摘奸事, 敬奉聖敎, 馳往
風雲雷雨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雩祀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漢江龍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司寒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馬祖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乎旀, 以日暮止宿, 今日平明, 馳詣
先農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先蠶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墻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星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祈雨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厲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乎所, 仍爲復命之意, 敢啓。 傳曰, 知道。
○ 假注書
池鳳翎
書啓, 臣於本月初十日巳時量, 以
東
·
南
·
北郊諸壇
摘奸事, 敬奉聖敎, 馳往
風雲雷雨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紅箭門·壇上下莎草, 俱爲無頉是白遣, 仍詣
雩祀壇
, 奉審是白乎, 則階砌·曲墻及...
○ 戶曹判書
閔泳商
疏曰, 伏以, 上顯冊於太室, 先烈冞光, 擧縟儀於昕庭, 邦慶荐至, 歡聲協氣, 蟠地際天, 仍伏念臣於廟號都監, 承命趨走, 自始竣工, 僅月餘日矣。 忽伏見別單下者, 董役諸臣, 皆被恩賞, 而臣名亦在晉秩之中。 噫, 追闡晠禮也, 其在常分, 固宜盡誠, 設有勞勩, 不過職耳, 況臣力疾隨諸臣後, 備位仕進而已, 則論以綜核, 合寘何科, 而反承非常之命, 臣誠惝惶震懍, 五內失守, 夫崇秩之顯, 服章焉上侔三事, 班聯焉下截八座, 自非宿德雅望, 莫宜居之, 今乃不問賢否, 不考名實, 苟然輕畀於疇典, 殆若跬步之可取, 臣之一身狼狽, 縱不足恤, 實爲熙朝惜此擧也。 明洪武·永樂年間, 名臣宿將, 多有矢石之勞, 往往賜宴元勳, 而其所當賜, 乃金銀紬緞之屬, 而至於爵級則絶罕, 後人稱之謂明功嚴罪, 非宋元可及也, 近世則片刻在公, 驟躐榮寵, 諉以前例之所在, 而上不欲廢, 認若所得爲倘來, 而下亦自安, 藉曰人稱其位, 賞合厥功, 稽諸愼懋, 失之多矣。 以臣無似, 偏被隆渥, 頂踵毛髮, 皆非己有, 燥濕夷險, 有不暇擇, 而不衷之服, 災必隨身, 難冒之義, 實係廉防, 參前依衛, 有退無進, 玆敢畢瀝衷懇, 仰瀆崇嚴。 伏乞聖慈, 念公器之重, 察株守之見, 特收臣崇政之階, 仍鐫臣度支之銜, 以安賤分, 千萬至祝, 臣無任云云。 答曰, 省疏具悉。 卿其勿辭行公。
○ 戶曹判書
閔泳商
疏曰, 伏以, 上顯冊於太室, 先烈冞光, 擧縟儀於昕庭, 邦慶荐至, 歡聲協氣, 蟠地際天, 仍伏念臣於廟號都監, 承命趨走, 自始竣工, 僅月餘日矣。 忽伏見別單下者, 董役諸臣, 皆被恩賞, 而臣名亦在晉秩之中。 噫, 追闡晠禮也, 其在常分, 固宜盡誠, 設有勞勩, 不過職耳, 況臣力疾隨諸臣後, 備位仕進而已, 則論以綜核, 合寘何科, 而反承非常之命, 臣誠惝惶震懍, 五內失守, 夫崇秩之顯, 服章焉上侔三事, 班聯焉下截八座, 自非宿德雅望, 莫宜居之, 今乃不問賢否, 不考名實, 苟然輕畀於疇典, 殆若跬步之可取, 臣之一身狼狽, 縱不足恤, 實爲熙朝惜此擧也。 明洪武·永樂年間, 名臣宿將, 多有矢石之勞, 往往賜宴元勳, 而其所當賜, 乃金銀紬緞之屬, 而至於爵級則絶罕, 後人稱之謂明功嚴罪, 非宋元可及也, 近世則片刻在公, 驟躐榮寵, 諉以前例之所在, 而上不欲廢, 認若所得爲倘來, 而下亦自安, 藉曰人稱其...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