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입력 내용 삭제
문자입력기
검색
부수검색
음가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검색
열 람
승정원일기
정보화사업
승정원마당
왕 대
책별
조직과 기능
연혁
작성방식
사료적가치
기록유산
개 요
범 례
공지 사항
인조 - 고종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
19대 숙종(1674년~)
20대 경종(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고종 28년
1891년 (신묘)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승정원일기 137책(탈초본 3014책) 고종 28년 10월 18일 기유
1891년 光緖(淸/德宗) 17년
요목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晴
行都承旨
尹用求
享官進
。 行左承旨
吳益泳
廚院進
。 行右承旨
金在容
病
。 左副承旨
李石榮
坐直
。 右副承旨
鄭恒朝
坐直
。 同副承旨
李義悳
坐
。 注書 二員未差。 假注書
林致相
遞直
二員未差。 事變假注書
白鶴九
仕
。
〈○〉
上在
景福宮
。 停常參·經筵。
〈○〉
上在
景福宮
。 停常參·經筵。
〈○〉
鄭恒朝
啓曰, 明日殿座相値, 視事頉稟之意, 敢啓。 傳曰, 知道。
〈○〉
鄭恒朝
啓曰, 明日殿座相値, 視事頉稟之意, 敢啓。 傳曰, 知道。
〈○〉
傳于
鄭恒朝
曰, 新及第
沈厚澤
, 校理除授, 新及第
尹鍾永
, 修撰除授,
南章熙
有頉, 代以
申憲均
爲假注書,
尹鍾永
有頉, 代以
沈厚澤
爲假注書,
申憲均
有頉, 代以
朴民輔
爲假注書,
沈厚澤
有頉, 代以
許鎰
爲假注書,
朴民輔
有頉, 代以
李範偰
爲假注書,
許鎰
有頉, 代以
鄭晟儉
爲假注書。
〈○〉
傳于
鄭恒朝
曰, 新及第
沈厚澤
, 校理除授, 新及第
尹鍾永
, 修撰除授,
南章熙
有頉, 代以
申憲均
爲假注書,
尹鍾永
有頉, 代以...
〈○〉
以
宋鍾冕
囚單子, 傳于
鄭恒朝
曰, 飭已施矣, 分揀放送。
〈○〉
以
宋鍾冕
囚單子, 傳于
鄭恒朝
曰, 飭已施矣, 分揀放送。
〈○〉
以
慶尙
監司
李𨯶永
狀啓,
密陽
等邑民家漂頹事, 傳于
李石榮
曰, 民家之漂頹, 田畓之潰決, 若是夥多, 聞甚矜惻。 元恤典外, 別加顧助, 結構修築之方, 毋庸少緩, 俾無一民失所棲遑之弊事, 廟堂措辭分付。
〈○〉
以
慶尙
監司
李𨯶永
狀啓,
密陽
等邑民家漂頹事, 傳于
李石榮
曰, 民家之漂頹, 田畓之潰決, 若是夥多, 聞甚矜惻。 元恤典外, 別加顧助, 結構修築之方, 毋庸少緩, 俾無一民失所棲遑之弊事, 廟堂措辭分付。
〈○〉
兵曹口傳政事, 摠禦營千摠單
白南奭
。
〈○〉
兵曹口傳政事, 摠禦營千摠單
白南奭
。
〈○〉
傳于
鄭恒朝
曰, 明日出宮門路, 以
廣臨門
爲之。
〈○〉
傳于
鄭恒朝
曰, 明日出宮門路, 以
廣臨門
爲之。
〈○〉
領議政
沈舜澤
疏曰, 伏以臣控至懇而干嚴畏, 逡巡乎去留之間者, 今幾朔于玆矣。 假使臣之材具, 粗有可能, 萬有一可, 以擔夯而猷爲者, 則顧何敢言辭於憂虞孔棘之際, 亦何敢若是支煩於君父之前乎? 徒擁槐棘, 漫竊餼廩, 蚤夜爲公國經綸籌策者, 皆歸彌文, 了無實效, 益見其百度日弛, 收拾不得, 奚止臣一人一己之私自憂懼而已哉? 以我殿下日月之明, 試可臣於屢數年之中, 諒燭臣之糊塗歇后, 不堪承當者, 宜其審於臣之自知, 而矧今民國事計, 決不合因循姑息, 一任臣之尸素焉, 則不待臣之重複其說, 而亦必有以處臣者矣。 大凡人之當官任事, 藉聰明而察簿牒, 量筋力而趨班綴, 臣今癃聵尩羸, 與齒俱進, 少觸外氣則苦嗽發, 略費勞思則宿眩作, 俄頃之間, 劇歇無常, 方其劇也, 神識懵然, 稟覆之不可緩而晷刻或拖時月, 奔走之不可强而蠢動專憑扶舁, 此又臣衰病之狀, 其勢實無如之何, 國體之苟簡, 臣心之悚怍, 容有極哉? 臣之此身, 卽殿下拔擢之身也。 一膚一髮, 豈敢自惜, 而又違寵眷聒聒不已者, 亦豈臣平日所願欲哉? 臚實申瀆, 委非得已。 伏惟天地至仁, 無物不遂, 恤臣之情, 允臣之請, 仍命甌卜, 策賢求助則民國莫大之幸也。 臣無任屛營祈懇之至, 謹昧死以聞。 答曰, 省疏具悉卿懇。 月前屢批, 已敷悉無餘, 意謂卿諒予苦挽, 犂然段圖, 而忽此巽章, 又至於專毗厚望之日, 誠是料外, 不覺訝歎。 以若民國之遑迫事計, 維持至今日者, 皆卿殫竭鞠瘁之績庸, 而大夫國人之所共道也。 予不可一日無卿, 卿不當一日忘予, 豈忍以此時而有此言乎? 且以端揆去位, 甚爲悵缺, 曾未幾何, 卿又欲去, 則其將使予, 獨勞於上, 而疇與共理? 誠亦不諒之甚矣。 卿之愼節, 非不奉慮, 自是暮年例証, 而臥閤論道, 無甚爲妨, 公私輕重之間, 必有審裁者存。 須勿以此更陳, 益勉忠猷, 是予之望焉。 仍傳于
鄭恒朝
〈曰〉
, 此批答, 遣史官傳諭。
〈○〉
領議政
沈舜澤
疏曰, 伏以臣控至懇而干嚴畏, 逡巡乎去留之間者, 今幾朔于玆矣。 假使臣之材具, 粗有可能, 萬有一可, 以擔夯而猷爲者, 則顧何敢言辭於憂虞孔棘之際, 亦何敢若是支煩於君父之前乎? 徒擁槐棘, 漫竊餼廩, 蚤夜爲公國經綸籌策者, 皆歸彌文, 了無實效, 益見其百度日弛, 收拾不得, 奚止臣一人一己之私自憂懼而已哉? 以我殿下日月之明, 試可臣於屢數年之中, 諒燭臣之糊塗歇后, 不堪承當者, 宜其審於臣之自知, 而矧今民國事計, 決不合因循姑息, 一任臣之尸素焉, 則不待臣之重複其說, 而亦必有以處臣者矣。 大凡人之當官任事, 藉聰明而察簿牒, 量筋力而趨班綴, 臣今癃聵尩羸, 與齒俱進, 少觸外氣則苦嗽發, 略費勞思則宿眩作, 俄頃之間, 劇歇無常, 方其劇也, 神識懵然, 稟覆之不可緩而晷刻或拖時月, 奔走之不可强而蠢動專憑扶舁, 此又臣衰病之狀, 其勢實無如之何, 國體之苟簡, 臣心之悚怍, ...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