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승정원일기 3책 (탈초본 62책) 인조 15년 11월 24일 무자 22/25 기사 1637년  崇禎(明/毅宗) 10년

媾婚과 관련하여 鄭明守를 통해 오고간 대화를 보고하는 迎接都監의 계

    ○ 又以迎接都監言啓曰, 勅使到館卽時, 令差備通事告國王遣承旨問安之意, 則勅使卽令鄭明守傳言曰, 蒙國王德義, 無事往來云, 仍言曰, 昨日所告之事, 何以定奪耶, 身雖往彼, 心在此事云, 臣答曰, 極爲重難, 雖無可從之義, 而國王重違勅使懇敎, 仍以小紙所錄之意, 再三言之, 至一番貢獻, 安敢不從及養育長成之際, 亦當費了年紀等語, 丁寧付囑, 則鄭明守卽爲入往, 有頃而後還爲出來言曰, 國王洞燭兩國事情, 得蒙快許, 吾等歸報皇帝, 亦將有辭, 極知感幸, 但三公·六卿之女, 年自八歲至十五歲以上, 五六聚會出示云, 臣答曰, 我國之俗, 女子年滿五歲, 則入置深閨, 雖在切親間, 不得見面, 況今經亂之後, 散居遠外鄕家, 十許日內, 決不得聚會云, 則明守卽又入往, 良久復出言曰, 某官之女與我國某王之子相當, 某人之女與我國某將之子相當, 而須得親見, 然後詳細歸告, 可以約婚云, 臣答曰, 若如此爲之, 則爲其父母, 雖刎頸而死, 豈可出示他人, 況年未滿十歲之兒, 見親戚之人, 驚惶失色, 安得出示所未見之人乎, 吾與鄭通事從前相切, 故國王覰勅使之回, 委遣吾告以許之之意, 而今又發斷不可從之言, 此非所望於鄭通事也, 爾須周旋兩間, 凡事順便爲之, 可也云, 則又爲入往, 卽又還出曰, 勅使所言, 不敢不達, 大監只啓達而已。如是往復凡五次, 故不覺夜深, 今始來啓矣。傳曰, 明朝往彼問安, 其難便之意, 更爲傳諭, 似當矣。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