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승정원일기 21책 (탈초본 397책) 숙종 27년 4월 13일 경오 6/11 기사 1701년  康熙(淸/聖祖) 40년

朴弼明 등이 입시하여 宮庄의 革罷, 李冉相의 罷職不敍, 權尙游의 遞職에 대해 논의함

    ○ 持平朴弼明所啓, 請革罷宮庄事。措語見上  又所啓, 請黃海都事李冉相, 罷職不敍。措辭見上  上曰, 依啓。修撰權尙游曰, 都事雖非極望, 然其體貌實爲一道守令上官, 其爲任, 不輕而重矣。若其所犯, 果如臺啓所臚列, 則其罪宜不止於罷職, 臺啓擬律, 似爲太輕矣, 拿問定罪, 何如? 上曰, 儒臣所達, 是矣。拿推, 可也。又所啓, 無狀小臣, 待罪言地, 不得進一言補益, 乃以黃海都事李冉相罷職不敍事, 有所論啓矣。卽者儒臣, 以擬律失當, 峻加非斥, 臣不勝慙恧之至。凡臺閣風聞, 易歸爽實, 臣嘗以不爲詳審, 泛然論人爲戒, 而今此冉相, 則覆審時推捉旁午, 民不堪命, 考講時請囑紛紜, 一道唾罵之狀, 人言狼藉, 不啻若目見, 不待其拿覈而後知之, 設令拿覈而罪之, 似不過於罷職不敍, 此臣之以罷職不敍爲請者也。至於欲推賂物, 呈訴官門云者, 非謂其親受賂物也, 其所率之人, 受賂而不能禁, 又從而聽其所囑, 則其罪與親受者, 有何間乎? 儒臣之必以拿問爲請, 有若分疏, 臣實未曉也, 雖然臣論一不法之人, 重被儒臣之斥, 何敢晏然仍冒於臺次乎? 請命遞斥臣職。上曰, 勿辭, 退待物論。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