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승정원일기 25책 (탈초본 478책) 숙종 39년 윤 5월 23일 기사 18/28 기사 1713년  康熙(淸/聖祖) 52년

李頤命 등이 입시하여 황제의 別諭를 들을 때 어떻게 禮를 차릴지 講定할 것에 대해 논의함

    李頤命曰, 小臣書問于朴權曰, 別諭宣勅後傳之乎, 抑以小察, 別爲傳之乎? 以此問於勅使爲可云。則回報以爲, 彼言皇帝, 以口語諭之, 故恐其遺忘, 以文字記來, 當於宣勅後接見時, 以言語傳之, 不可爲他禮云矣。曰, 別諭辭語, 示其款曲之意, 有非尋常, 而譯輩問以傳於何處云爾, 則彼以爲當傳於接見時云, 其聽受節次, 不可不預爲講定矣。上曰, 接見時, 爲皇帝太后問候後, 坐而繼言, 是其例也。未坐之前, 若傳別諭, 則仍爲立聽, 或於就坐後言之, 則起立以聽後, 答之爲是矣。曰, 太后前問候一節, 纔畢後, 彼言別諭, 則聽後就坐爲好, 第此與問候節次有異, 傳時或跪聽後, 或拜等節次, 似當有之矣。頤命曰, 彼中無俯伏跪聽之禮, 而傳時若稱以皇帝言, 則立聽似爲異常, 此等事, 欲定於臨時, 必爲窘束, 已使遠接使, 深知以報矣。今此所示, 不爲分明, 今番臣行, 當講定而來矣。同副承旨柳泰明曰, 彼則以起立爲恭云矣。頤命曰, 前例若有賜物, 則起立, 今此別諭, 彼若書出於紙, 則與宣勅無異, 當跪矣。向年揆敍出來時節次, 亦與宣勅時同矣。上曰, 別諭, 乃皇帝口道之辭, 而渠恐忘却, 懸誦而來, 別無書出之事, 立聽無妨。但此等禮節, 往復講定宜矣。

    [ PC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