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입력 내용 삭제
문자입력기
검색
부수검색
음가검색
부수로 검색:
부수 획수:
부수 목록:
나머지획수:
음가로 검색:
음가:
검색:
검색
열 람
승정원일기
정보화사업
승정원마당
왕 대
책별
조직과 기능
연혁
작성방식
사료적가치
기록유산
개 요
범 례
공지 사항
인조 - 고종
16대 인조(1623년~)
17대 효종(1649년~)
18대 현종(1659년~)
19대 숙종(1674년~)
20대 경종(1720년~)
21대 영조(1724년~)
22대 정조(1776년~)
23대 순조(1800년~)
24대 헌종(1834년~)
25대 철종(1849년~)
26대 고종(1863년~)
27대 순종(1907년~)
철종 2년
1851년 (신해)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윤8월
9월
10월
11월
12월
승정원일기 122책(탈초본 2525책) 철종 2년 12월 9일 경인
1851년 咸豊(淸/文宗) 1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
雨
行都承旨
沈宜冕
。 左承旨
沈敬澤
。 右承旨
趙然昌
。 左副承旨
嚴錫鼎
。 右副承旨
尹堉
。 同副承旨
李承益
。 注書。 假注書。 事變假注書。
昌德宮에 머묾. 晝講만 행함
○ 上在
昌德宮
。 只晝講。
○ 上在
昌德宮
。 只晝講。
비가 내려 측우기로 측정함
○ 自人定至五更, 灑雨下雨, 測雨器水深九分。
○ 自人定至五更, 灑雨下雨, 測雨器水深九分。
내일 常參과 經筵의 시행에 대해 묻는 承政院의 啓
○ 政院啓曰, 明日常參·經筵, 取稟。 傳曰, 停。
○ 政院啓曰, 明日常參·經筵, 取稟。 傳曰, 停。
○ 兵曹啓曰, 今月十二日一內禁軍番次矣。 該番將
朴來益
, 身病猝重, 勢難供職, 改差, 其代依承傳口傳擬入, 何如? 傳曰, 允。
○ 兵曹啓曰, 今月十二日一內禁軍番次矣。 該番將
朴來益
, 身病猝重, 勢難供職, 改差, 其代依承傳口傳擬入, 何如? 傳曰, 允。
○ 兵曹啓曰, 同知中樞府事
林性薰
, 宣傳官
申命溫
·
尹致誼
·
李奎興
·
金東壽
, 五衛將
鄭達
·
朴大榮
·
愼
·
高成旭
, 部將
白樂三
俱以病難供職, 呈狀乞遞, 竝改差, 何如? 傳曰, 允。
○ 兵曹啓曰, 同知中樞府事
林性薰
, 宣傳官
申命溫
·
尹致誼
·
李奎興
·
金東壽
, 五衛將
鄭達
·...
○ 宗親府啓曰, 本府自來淸寒, 故毋論某道, 若有空閑土地, 則劃付本府, 收稅收用事, 列聖朝受敎, 昭在本府, 而
江原道江陵地詩洞浦
泥生處將欲收稅之意, 關問便否, 則別無句管, 而果有潮退泥生處云, 依受敎定式, 劃付本府, 收稅需用之意, 分付該道, 何如? 傳曰, 曾已付屬
順和宮
矣。 此草記勿施。
○ 宗親府啓曰, 本府自來淸寒, 故毋論某道, 若有空閑土地, 則劃付本府, 收稅收用事, 列聖朝受敎, 昭在本府, 而
江原道江陵地詩洞浦
泥生處將欲收稅之意, 關問便否, 則別無句管, 而果有潮退泥生處云, 依受敎定式, 劃付本府, 收稅需用之意, 分付該道, 何如? 傳曰, 曾已付屬
順和宮
矣。 此草記勿施。
○ 辛亥十二月初九日午時, 上御
熙政堂
。 晝講入侍時, 同知事
徐憲淳
, 特進官
鄭德和
, 參贊官
尹堉
, 侍讀官
申錫禧
, 檢討官
宋謙洙
, 假注書
沈東臣
, 記注官
羅時鏞
, 別兼春秋
徐翼輔
各持
論語
第七卷,
宗臣慶平君
以次進伏。 武臣
李南輔
進伏楹外訖。 上曰, 史官分左右。
缺
堉
曰,
論語
一帙今已畢講矣。 其爲書廣大悉備, 爲學之序則不外於
學而
一篇, 爲仁之方則該載於門人之答, 爲政之道, 詳述於
顔淵
之問, 居處語默衣服飮食之節, 無遺於鄕黨之記, 近而修身, 遠而治平, 捨是書何以哉?
程子
之言曰, 讀
論語
時此等人, 讀了後又只是此等人, 便是不曾讀。 殿下試於淸燕之中, 時加省察, 驗之於動靜云爲政令施措之間, 果已體認而力行乎? 則始爲善講玆書也。 苟未然者, 不幾近於
程子
所謂不曾讀乎? 俄者特進官所仰奏, 聖敎若曰, 讀書所以知之, 知之欲以行之, 大哉王言。 臣不勝欽仰萬萬, 殿下已於讀書之法, 得其要領矣。 伏望益加思勉, 以收服行之實焉。 仍奏曰,
堯曰
一編, 蓋述帝王傳道之心法, 而
堯
·
舜
·
禹
·
湯
·
武王
則得位行道。 故紀其事,
孔子
則不能得位行道。 故述其言, 而下面許多事, 槪不出允執厥中一句中者, 喜怒哀樂未發之時, 氣不用事, 故得其平也。 若喜怒哀樂, 隨機發見, 被氣用事, 或失其平, 則是謂不中, 雖匹庶之賤, 喜怒無節, 則何以爲國乎? 執中之道, 不過曰公而已, 同知事所奏纖悉無蘊, 懋哉懋哉。
缺
堉
曰, 進講冊子畢講後溫繹間, 例有視事頉稟, 而前此每因勿拘之命, 依例繼講矣。 今悉則何以爲之乎? 上曰, 依例溫繹好矣。
○ 辛亥十二月初九日午時, 上御
熙政堂
。 晝講入侍時, 同知事
徐憲淳
, 特進官
鄭德和
, 參贊官
尹堉
, 侍讀官
申錫禧
, 檢討官
宋謙洙
, 假注書
沈東臣
[ PC버전 ]